■ 1. 핫스팟
- 텍스트 핫스팟 : showtext.xml을 include해준다. 그림 아이콘 위에 마우스를 두면 tooltip이 텍스트로 보이는 기능이다. 클릭 이벤트로 다른 내용을 연결할 수도 있다.
- 이미지 핫스팟 : 이미지 핫스팟을 만들고 이미지를 연결해준다. 이때 이미지 박스를 사각형 or 라운드 사각형으로 할 수 있다.
- 점 핫스팟(공주박물관) : 박물관-과학관-미술관 등에서 벽에 걸린 그림이나 주변의 물체 등을 보다 크게 보여주며 줌인/아웃하면서 크기를 조절해 볼 수 있다.
- 이미지 확대와 이동하기 : 이미지 레이어에 확대-축소-이동 스크립을 넣어 활용한다.
- 이미지 면적 핫스팟(폴리곤 핫스팟) : 가상 미술관의 벽에 걸린 사진을 클릭하면 큰 사진이 튀어 나와 확대된다.
- 폴리곤 핫스팟 : 암석 모양과 같이 불규칙한 영역을 지정해주고 이를 클릭했을 때 보여줄 내용을 연결한다.
- 레이어 핫스팟1 : 둥근 레이어 핫스팟 등을 만들어 두고 이미지나 동영상을 연결한다.
- 레이어 핫스팟2 : 레이어로 주제를 넣어두고 주제를 더블클릭하면 학습목표나 사진이 뜬다. (점핫스팟과는 다르다)
- 아바타 김희수 : 김희수가 블루스크린 촬영 후, 크로마키 처리를 하여 설명해야할 곳에 위치시켰다. 클릭하면 해설하도록 했다.
- 신 이동 핫스팟 3가지 예 : 기본 화살표, 떠있는 화살표(Garrow), 둥근 서클(circle hotspot.xml 포함시켜줌)안에 다음 신 미리 보여주며 이동하기 3가지.
- 팝업 텍스트 핫스팟 : 특정 신에 텍스트 핫스팟을 만들어 인터넷, 유튜브, 이미지 등을 팝업 창으로 볼 수 있다.
- 이미지 갤러리 : image gallery.xml을 include 해주고 사진수, 섬네일 위치 등을 지정해준다.
- 이미지 슬라이드와 동영상 : image gallery를 작동시켜 슬라이드해주며 개별 사진 확대도 가능하다. 동영상(공통)도 가동해보자.
- 신-핫스팟 사운드-온오프 : 각 신에 또는 핫스팟에 사운드(나래이션)를 넣고 온-오프 버튼을 두어 가동한다. 하단 메뉴에서 vtourskin을 수정하여 활용한다.
- 방향 사운드 : 360도 VR의 좌-우 또는 앞-뒤 방향에 따라 소리의 크기가 다르게 구현할 수 있다.
- scene별로 사운드 자동적으로 가동 : 어떤 scene에 들어가면 그 scene을 설명하는 사운드가 자동적으로 가동되게 한다. 이를 위해 해당 scene의 'on start'나 oneventcomplete에 사운드 파일을 넣어준다. playsound을 횟수 뒤, 마지막 부분에 volume을 0~1까지 지정할 수 있다.
- 배경 여러 사운드 off하고 원하는 사운드만 on하기 : grobal sound를 가동할 때 '배경 사운드-신사운드-핫스팟 사운드' 등이 실행중 일때 이를 off하고, 원하는 사운드만 가동할 때'stopallsounds()'를 실행할 예
- 비디오 핫스팟 : 사각형 비디오 핫스팟과 아아콘 비디오 핫스팟이 있다. 한 scene에서 둘 중 하나만 활용해야 한다.
- 유튜브 핫스팟 : utube.xml을 include해주고 uTube 컨텐츠 code를 넣어준다.
- VR scene의 동서남북 방위 맞추기와 신의 기본 방향 정하기 : 실제 방위와 맞추려면 C를 눌러 방위를 맞춘다. 신들의 원하는 방향값은 한꺼번에 맞추어두고 시작시 불러 적용한다.
- 핫스팟 방향값 얻는 방법1 : trace, spvr/howlog()를 이용하여 info 창에 'linked_scene_view 값(hlookat,vlookat, fov)'를 찾아준다.
- 핫스팟 위치값 얻는 방법2 : dragable-x xml을 include해주면 좌측 하단에 hotspot 위치값인 ath와 atv를 보여준다.
- 신방향과 시야 정하기 : 자바 API를 활용한다. lookat.xml을 include해주면 좌측 하단에 방위각-고도-시야를 보여준다. 이 값은 scene 시작시 보여줄 방향값을 정할때 필요하다.
- 공통 이미지 확대하기(개별 이미지 또는 모든 신에 적용되는 이미지)와 신의 방향값 넣기 : 해당 신에 heading값을 넣어 방향을 정한다. 북쪽이 기준(0)이다. 그러고 나서 나침반을 include해주면 신과 나침반에서 가리키는 방향이 일치된다.
■ 2. 맵 활용하기
- 미니 맵 넣기 : map-small.xml을 include만 해주면 자동으로 들어간다. 맵 위치만 지정해준다.
- floorplan 맵 넣기 : 미니맵의 일종으로 Creating floorplan tool을 이용하여 이동이 쉬운 작은 맵을 활용할 수도 있다.
- 이미지 맵 활용 : 여러 신들의 위치를 'image map'에 포함시켜 작성하여 'image map'을 보면서 원하는 신으로 직접 이동한다.
■ 3. 다양한 기능
- 떠 있는 compass와 각도기 컴파스로 주향을 추정하고, 각도기로 경사를 측정한다.
- 인트로 이미지 넣기 : introimage.xml 파일을 첫 scene (또는 특정 scene)에 넣어준다.
- '인트로 화면-텍스트'-로고 활용 : 시작시 잠깐 보여주는 인트로 화면과 텍스트 그리고 로고를 넣어보자.
- 슬라이딩 팝업창 : 각 지역에 대한 탐구주제를 슬라이딩 팝업창으로 구현한다.
- 팝업창 : 기관 및 시설 홍보 등에 활용할 수 있다. 각 파노라마에 대한 설명을 팝업창과 나래이션을 활용해 설명한다.
- 3차원 물체 돌려보기 : krpano로 만든 3D 물체 돌리기(krpano1-19-16 ObjectVR을 활용하는 것이 유리함.
- ObjectVR의 활용 : 오브젝트 VR도 KRPano의 각 종 핫스팟을 넣어 해설 내용을 담을 수 있다.
- 크로마키 활용 : 크로마키 처리한 비디오 아바타 파일(포토샾에서 크롭하여 경계를 분명히 한다.)을 xml에 포함시켜 보여줄 위치를 정하고, 나래이션 사운드와 함께 include 해준다.
- 아바타 활용 해설 : 크로마키 처리한 비디오 아바타 파일을 xml에 포함시켜 나래이션 사운드와 함께 include 해준다.
- 문 열고 닫기 : 문이 닫힌 곳에 문이 열린 사진을 폴리곤으로 연결하여 누르면 열린 효과를 얻는다.)
- VR 장면 전환(before-after) : 같은 장소가 시간에 따라 변해가는 모습 보기(예: 같은 장소 여름-겨울의 모습)
- 눈내리기 효과 : snow.xml을 include하여 눈-비-장미-별 등이 쏟아지게 하는 효과를 구현한다.
- 후처리 통해 VR 감상하기 : 우측에 붙어있는 postprocess 버튼 속에 포함되어 있는 '밝기-색 등'의 조정을 통해 VR을 감상할 수 있다.
- 섬네일 넣고 빼기 : 섬네일을 만들어 해당 xml에 연결해주고 '넣기-빼기' xml 코드를 이용한다.
■ 4. 메뉴(화면틀-스킨) 만들기
- 파노라마 사이드 메뉴1 : 파노라마를 분류하여 나누어 볼 수 있는 사이드 메뉴로 krpano로 vtour를 만든 다음 수정하여 활용한다.
- 사용자 메뉴 : 사용자 나름대로 스킨을 만들어 활용할 수 있다. vtourskin.xml을 참고한다.
- 사이드 메뉴 : 메뉴 버튼이 많을 때 따로 사이드 메뉴를 활용한다. 이때 layer를 이용하여 넣고 빼는 스크립이 필요하다.
- 신사운드와 메뉴 스킨 : 각 신에 각각 사운드(나래이션)를 넣고 가동한다. 하단 메뉴는 vtourskin을 사용자가 수정하여 활용한다.
- VR에 포함된 여러 item을 list로 안내 : VR에 포함된 아이템 요소들을 리스트로 만들어 클릭하면 그곳으로 직접 이동
- VR scene list와 viewsetting 활용 VR scene list를 combobox로 한 곳에 모아 두었으며 보는 방법도 선택할 수 있다.